[의료칼럼] 탈장(hernia)
[의료칼럼] 탈장(hernia)
  • 광양뉴스
  • 승인 2024.11.15 17:48
  • 호수 108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순천 광양사랑병원
중재혈관외과 원장
△ 이순천 광사랑병원 중재혈관외과 원장<br>
△ 이순천 광사랑병원 중재혈관외과 원장<br>

탈장은 신체 내 일부 조직이나 장기가 정상적인 위치에서 벗어나 복강을 둘러싼 근육이나 조직의 약한 부분을 통해 밀려 나와 돌출되는 질병입니다.

이러한 현상은 신체의 어느 곳에나 생길 수 있지만 대체로 복벽에서 발생합니다.

흔히 복부의 앞쪽 벽에서 발생하는데 복벽 탈장은 복강을 둘러싼 근육과 근막 사이에 복막이 주머니 모양으로 돌출되어 비정상적인 형태를 이루는 상태라 할 수 있으며 튀어나온 주머니 속에 복강 내 장기가 포함되기도 합니다.

탈장은 위치와 종류에 따라 다양한 증상을 나타냅니다. 가장 흔한 증상으로는 부풀어 오르는 덩어리가 있습니다. 이 덩어리는 실제로 복강 내 장기가 밖으로 돌출된 것을 보여주며, 이로 인해 통증이나 불편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탈장의 대표적인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부풀어 오르는 덩어리: 탈장이 생기면 복벽 밖으로 장기나 지방이 튀어나와 피부 아래에서 촉감이 느껴지는 덩어리가 만들어지며 이 덩어리는 누르면 부드럽고 움직일 수 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② 통증과 불편함: 탈장부위에 지속적인 통증이나 불편감이 있을 수 있으며 활동이나 기침, 변비 등으로 복부 압력이 높아지면 통증이 더 심해질 수 있습니다. 특히 무거운 물건을 들거나 운동을 할 때, 탈장 부위에 통증이나 당김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③ 팽창 및 수축 : 탈장 덩어리는 복부 압력에 따라 크기가 변화합니다. 누워있거나 복부 압력이 낮아지면 덩어리가 작아지거나 사라질 수 있습니다.

④ 매스꺼움과 구토: 탈장이 장폐색을 일으킬 경우, 소화가 안 되는 상태로 이어져 메스꺼움과 구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⑤ 피부 변화 : 탈장 부위의 피부가 붉어지고 열감이 있을 수 있으며 피부가 손상되거나 궤양이 생기기도 합니다.

⑥ 복부 팽만감: 탈장된 장기로 인해 복부가 팽만해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들은 탈장의 심각성을 나타내는 지표가 될 수 있으며, 신속히 의사와 상담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방치하면 합병증 위험이 높아질 수 있숩니다.

탈장으로 인한 합병증으로는 다음과 같이 장폐색, 장괴사, 장천공, 감돈 탈장 등이 있습니다.

1) 장폐색 : 탈장된 장에 혈액 공급이 차단되어 장이 막히는 상태로 심각한 통증,구토,변비 등의 증상이 발생하며 응급 수술을 필요로 합니다.

2) 장괴사 : 장폐색이 지속되어 탈장된 장이 괴사되는 상태를 말하며 장 조직이 파괴되어 생명을 위협하는 심각한 합병증입니다.

3) 장천공 : 장 괴사가 진행되어 장이 파열되는 상태를 말하며 복강 내 감염이 발생하여 복막염 등의 생명을 위협하는 상황을 초래할 수도 있습니다.

4)감돈 탈장 : 탈장된 장이 조직 사이에 끼어 빠져나오지 못하는 상태이며 혈액 순환이 차단되어 장 괴사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한 상황입니다.

이러한 심각한 합병증은 응급 수술이 필요하며, 시기를 놓치면 생명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탈장 증상이 발견되면 신속한 진단과 치료를 하여야합니다.

탈장의 증상이 경미하거나 수술이 어려운 경우에, 비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탈장낭을 수동적으로 밀어 넣고 복벽을 지지하는 탈장대를 착용하는 것이 대표적입니다. 그리고 생활습관 변화와 복대 착용 등이 있습니다.

대부분의 탈장은 수술적 치료가 필요합니다.

탈장 수술은 탈장된 장기를 원래 위치로 되돌리고, 약해진 복벽을 강화하는 과정을 포함합니다. 수술 방법으로는 개복수술과 복강경수술이 있습니다.

상처 부위의 회복을 돕고, 재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술 후 일정기간 동안 무리한 운동이나 무거운 물건을 드는 행동을 피해야 하며, 점진적으로 운동 강도를 높여 가며 근육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탈장 예방을 위해서는 체중관리, 복부 근력 강화, 무리한 힘 사용 피하기, 변비 예방 등의 생활 습관 개선이 필요하며 증상이 있거나 악화되는 경우에는 전문의와 상담을 통해 수술적 치료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