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장도 못한 수산물유통센터, ‘전기료만 5500만원’
개장도 못한 수산물유통센터, ‘전기료만 5500만원’
  • 김성준 기자
  • 승인 2023.09.18 08:30
  • 호수 102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준공 후 16개월, 운영비로만 ‘1억’
의회 지적했지만…임시방편 대응
편의시설 운영, 여전히 ‘오리무중’
우려가 현실로…개장은 내년으로
△ 수산물유통센터
△ 수산물유통센터

준공 후 일 년이 넘도록 개장도 못하고 있는 수산물 유통센터가 연간 4000만원의 전기요금을 지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는 추석 전 개장을 목표로 삼고 준비했지만 결국 올해 안 개장 여부마저 불투명해지면서 누구도 사용하지 못한 2년여동안 관리비는 고스란히 시민들이 떠안게 됐다.

지자체별 예산 집행내역을 확인할 수 있는 ‘지방재정365’에 따르면 광양시는 지난해 5월 수산물 종합유통물류센터가 준공된 이후 유지관리를 위한 비용으로 6억여원을 지출했다.

항목별로 살펴보면 회의테이블 등 사무실 물품 구입에 2000여만원, 사무실 관리를 위해 2200만원을 사용했다. 특히 공공운영비 항목에서 5억5000여만원을 집행했는데 하수도 원인자 부담금 4억5000여만원을 제외하더라도 1억여원을 사용한 셈이다.

운영비로 사용된 1억 중 가장 많은 비용을 차지하는 항목은 단연 전기요금이다. 매월 최소 310만원부터 많게는 400만원까지 납부했다. 지난해 5월부터 올해 8월까지 16개월 동안 무려 5500만원이 전기요금으로 쓰였다.

시 관계자는 “전기요금은 계약된 전력량이 있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더라도 기본요금이 높게 책정되어 있다”고 해명했다.

논란 속 준공했지만 개장은 요원

‘수산물 종합 유통물류센터’는 시작부터 많은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해수부 공모사업에 선정된 2015년부터 시의회에서는 적잖은 우려를 표했다. 사업비 222억 중 시비가 147억이나 투입된 만큼 시의회는 회기 때마다 사업 진행 상황을 물었다. 이 과정에서 부지 선정을 두고 특정인에 대한 특혜 논란이 일기도 했다.

우여곡절 끝에 준공까지 마쳤지만 이번엔 시설운영자를 찾지 못하는 문제가 생겼다. 인근 도시에 비해 수산업이 활발하지 않아 운영이 어려울 것이란 예상이 맞아 떨어졌다. 개장은 운영자가 나타날 때까지 무기한 연기됐고 시는 지난해 전기요금, 전기설비 안전관리, 소방안전관리, 승강기관리 등으로만 5000만원을 집행했다.

올해 1월 시는 운영사업자로 ‘강동유통’을 선정하며 빠른 시일 내로 운영을 시작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부실한 설비 등으로 추가 공사가 필요한 탓에 올해 내 개장은 어려운 실정이다.

시가 추가적으로 10억원의 예산을 들여 공사하고 있는 냉동창고, 수족관, 냉동쇼케이스 설치 등이 마무리 되면 내년에나 개장이 가능해진다. 8월까지 집행된 관리비로 추산해보면 올 한해도 최소 8000여만원의 관리비가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의회 수차례 질의에‘문제없다’더니

이처럼 예견된 혈세낭비에도 광양시는 ‘문제없다’, ‘곧 개장할 것’이라는 입장을 고수해오며 임시방편으로 문제를 피해가기에만 바빴다.

실제로 2019년 제284회 7일차 총무위원회, 2020년 광양시의회 제291회 제2차 총무위원회 등에서 현 의장단인 서영배, 백성호 의원을 포함 박노신, 박말례, 정민기 전 의원 등도 수차례에 걸쳐 수산물센터가 지역 특색과 맞지 않다고 지적했다.

시 담당자는 매번 “해당년도까지 마치겠다”, “명심하겠다”등의 답변을 내놨지만 공모 당시 150억이던 사업비는 시비 70억이 추가돼 총 220억만 소요된 채 여전히 문을 열지 못했다.

또 2022년 4월 열린 광양시의회 제308회 제2차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서 박말례 의원이 “6개의 냉동창고 중 2개동만 돼도 (개장에)문제가 없다는 거죠?”라고 재차 묻자 담당부서는 “2개 업체와 상담을 했는데 2개동이면 개장하는 데는 문제가 없다”며 “현재는 그렇게 파악됐다”고 답했다.

입찰자도 없는데 오염수까지 ‘악재’

편의시설 운영자가 없는 점도 큰 문제다. 처음보다 임대요금을 40%가량 감면했지만 입찰자는 전무한 실정이다. 더군다나 일본이 원전 오염처리수를 방류하며 수산물에 대한 범국민적인 우려가 커지고 있는 상황에 수산물센터에 입점을 희망하는 운영자가 나타날지도 미지수다.

시 관계자는 “사업을 추진하면서 전문가 부재 등으로 인해 공사 진행에 있어 행정 실수가 잦았다”고 일부 잘못을 시인하면서도 “지난해 사업비가 없어 추가적인 설비를 진행하지 못했고 올해 5월 들어 부가세 10억원을 환수 받아 수족관 등 기반 시설 공사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시설 운영자가 모두 선정되면 임대료로 관리비를 충분히 지출할 수 있다”며 “관련 조례 개정 등의 절차를 통해 점포 시설 설치 비용 내에서 추가적인 임대료 감면 방안 등을 검토 중”이라고 덧붙였다.
 

2022년 9월, 2023년 4월, 2023년 9월. 세 차례의 예고에도 불구하고 또 한 해 개장을 넘기게 된 수산물센터가 2024년에는 정상적으로 시민들을 맞이할 수 있을지 여부에 지역 사회의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