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양은 젊은 도시다. 교육은 젊은 도시의 기본이고, 교육여건은 광양 미래를 만드는 핵심영역이다. 그렇지만 교육행정이 광양시라는 일반행정과 분리되어 있어서 기대한 만큼의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 더구나 광양교육에 관한 광양시, 교육청, 교육단체, 학부모 간의 협력수준도 미약하다. 수도권과 비수도권 격차 얘기가 나올 때마다 강조되는 교육을 지역발전의 전제이자 좋은 도시의 관건으로 인식하고, 시민참여형 광양교육생태계 구축을 제안한다.
교육청과 더불어 공교육의 핵심주체인 광양시는 교육거버넌스 구축에 적극적이어야 한다. 교육행정협의회를 내실화하고, 교육소비자인 학부모와 학생, 시민들의 참여를 보장해야 한다. 광양시는 교육예산 편성과 집행, 평가라는 일련의 과정에서 교육지원청과 학부모, 학생들의 의견 수렴을 제도화하여 시민참여형 교육예산의 모범을 만들어야 한다. 교육경비보조 조례 같은 제도적 틀을 갖춰 교육지원계획이나 예산안을 수립할 때 교육지원청, 학부모, 학생들과 협의하여 수립하고, 심의위원회를 거쳐 학교급식, 교육정보화, 교육시설개선, 교육환경개선, 학교교육과정, 시민교육과정, 공교육 연계 체육·문화공간 시설·프로그램 운영 등을 포괄한 예산안을 만들자는 것이다.
광양은 특수한 교육수요를 발굴하고 지원하는데 뒷받침해야 한다. 환경과 생태, 탄소중립, 역사문화, 체육 등의 영역을 들 수 있다.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공통과정을 만들고, 시범학교를 지정하는 한편, 해당 분야의 동아리 활동을 지원하여 광양의 학생들이 균형 있고 미래지향적인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이런 교육서비스가 확장되면 공교육은 풍요롭게 되고, 교육서비스에 종사하는 시민들의 보람 있는 일자리도 늘어날 것이다. 지방정부들이 학생들의 대학진학을 위해 공교육을 직접 지원하는 프로그램들을 시행하고 있다. 공교육 영역을 존중하면서 학교와 협의하여 수시 관련 프로그램이나 일대일 맞춤형 진학상담 등을 실시하는 방안도 생각해 볼만하다. 저소득 가정이나 다문화가족, 학교 밖 청소년을 위한 교육플랫폼을 구축하여 인터넷 콘텐츠를 무상으로 보급하고, 사교육 시장에서도 원천적으로 배제되지 않도록 하는 교육격차 해소 방안도 검토해야 한다.
코로나가 촉발한 미래형 교육공간 조성에도 관심을 쏟아야 한다. 올해 3월 25일부터 ‘디지털 기반의 원격교육 활성화 기본법’이 시행된다. 유치원, 초·중·고교, 평생교육시설 등에서 진행하는 디지털 기반 원격교육을 혁신하자는 것인데 광양시와 교육지원청의 협력이 필요하다.
광양시는 지난 2018년 전남 최초로 유니세프 아동친화도시 인증을 받은 도시다. 아동친화도시가 단지 구호에 그치지 않으려면 유엔이 정한 ‘아동권리협약’에 담긴 기본정신을 실천하고 모든 아동과 청소년이 좋은 환경에서 충분한 권리를 누릴 수 있도록 실천해야 한다. 특히 지역사회가 책임지는 아이 돌봄과 방과 후 돌봄에 더욱 관심을 쏟았으면 한다.
시민이 참여하는 광양교육생태계를 구축해 시민과 함께 광양 교육발전을 이루고, 사회적 약자, 소외계층, 한부모가정, 조손가정 등 지역 간, 계층 간 교육격차 없는 포용도시 광양을 만들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