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 30여년 만에 1991년 지방의회가 부활되면서 기초의원에 대해 공천을 배제했던 이유는 기초자치단체는 정치집단이라기보다는 지역주민들의 실생활과 밀접한 봉사하는 개념의 행정을 맡기 때문이었다.
그러던 것이 일정액의 급여지급과 함께 공천을 통한 정치집단으로 변해 오늘에 이르렀다.
지난 대선에서 주요정당 유력후보자들은 변질된 지방의회의 줄세우기식 정치집단화 및 지방행정에서 나름의 벽을 느끼는 국민적거부감 등을 체감하고 약속이나 한 듯 기초의회 및 단체장 무공천을 공약으로 제시했다. 당연히 지방선거문화가 변할 것으로 기대했다.
그러나 이런 기대는 그리 오래가지 못했다. 국민모두가 잘 알고 있는 것처럼 새누리당과 새정치민주연합은 정치철학이라는 명분으로 얼마간 설전이 오고갔을 뿐 앞서거니 뒤서거니 하면서 대선후보의 집단이 약속한 공약은 헌신짝처럼 내팽개쳐졌다.
그리고 6.4지방선거와 함께 7대 광양시의회가 지난 1일 개원했다.
지방권력의 지역별 독점은 공화당 이래 쉽게 희석되지 못한 병폐다. 동서로 나뉜 지역갈등으로 민족적 자존감에 상처가 났고 많은 국민들은 오랫동안 패거리정치문화에 시달려야 했다.
우리 광양은 어떤가? 읍권역과 중마동권역의 동서로 나뉘어 다투는 세력은 정치집단이 대표적이다.
때문에 현지인(토박이) 외지인 등으로 억지구분이 생겨난다. 다행인지 불행인지는 모르겠으나 이번 7대 의회에 들어 13명의 의원 중 무려 10명이 새정치민주연합으로 당선됐다. 가히 독점이라 할만하다.
지역으로 갈등하고 특정정당의 독점으로 또 갈등 내지 소외되는 정치문화가 7대 의회 개원과 함께 주요 직책 모두 새정치 출신 의원으로 채워졌다. 경험을 살려 양보하거나 소수 비주류에게 배려하는 통 큰 정치는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가 없다.
우연인지는 모르겠으나 각 지방신문마다 크게 실린 개원기념사진에는 비주류의원들이 맨 가장자리로 밀려나있다. 서운한 마음도 들고 안타까운 마음도 든다.
경험 있는 선배 의원들이 주요직책을 맡은 힘 있는 의원들이 이들을 먼저 챙기는 여유를 유권자들은 바란다. 이런 문화가 기초돼야 사회약자를 먼저 챙기는 지방자치로 기대할 것이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선거는 죽기살기식으로 전쟁을 치르듯 선거에 임한다. 이 말은 개원식에 참석해 축사를 한 우윤근국회의원의 말이기도 하다.
그런 과정을 거쳐 7대 의회에 입성한 13명의 시의원들은 평범한 시의원 그 자체로 민생의 현장으로 되돌아가는 여유를 가졌으면 싶다. 낙선한 후보자를 아우르고 그들을 지지한 유권자를 위로하는 통 큰 정치가 우리는 아쉽다.
가진 자만을 위한 정치가 아니라 힘없고 무지한 시민을 먼저 살피는 정치, 이런 정치는 민주당 중앙당에서 줄곧 외쳐대는 슬로건 아니었던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