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취재] 지역 특성 맞춘 차별화된 스마트도시 구축 추진 ‘광양시’
스마트도시 조성으로 시민 삶의 질 향상을 이끈다 ④
대한민국 지자체들이 저마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현대사회의 대부분을 구성하고 적용시키는 시스템적 요소에 ‘스마트(Smar)’라는 단어는 절대적 요소로 자리 잡았다.
사물인터넷(IoT)과 사이버 물리 시스템(CPS), 빅데이터 솔루션 등 최신 정보통신기술(ICT)을 적용한 스마트 플랫폼을 구축해 도시 자산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시민에게 안전하고 윤택한 삶을 제공하는 스마트도시 구축에 앞다퉈 나서고 있다.
특히 △스마트 시티 △스마트 교통 △스마트 환경 △스마트 에너지 등은 이미 현대인들에겐 낯선 단어도 낯선 환경도 아니다. 스마트가 화두인 시대다.
더불어 스마트도시 구축의 핵심인 사물인터넷(IoT)과 인공지능(AI) 기술의 결합은 단순한 첨단도시로의 기능 발전을 넘어 인간이 영위하는 모든 분야에 적용되면서 미래 산업의 방향을 제시하는 이정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광양신문은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아 전국의 지자체 중 다양한 분야의 스마트시티 성과를 나타내고 있는 지자체를 소개하는 기획보도를 이어왔다.
본 기획보도는 광양시 환경, 교통, 농업, 에너지 등의 특성에 최적화된 맞춤형 스마트도시 구축을 위한 정책 수립과 추진 방향에 기여코자 마련됐다. 그 마지막 편으로 광양시 스마트 도시 추진 현황을 소개한다. <편집자주>
광양시 스마트 도시 추진 전략
광양시는 △지속성 △차별화 △수익성 △참여형 등 4가지 핵심원칙 아래 광양시 스마트 도시 구현을 목표로 하고 있다.
시는 지속적이고 일관된 추진체계 및 전략이 필요하다는 판단 아래 장기적 재정 지원과 단계적 접근, 협업을 기반한 속도 조절에 무게를 두고 있다.
또한 기존 단순한 스마트 인프라나 솔루션 구축에서 탈피해 광양시만의 차별적 전략으로 ‘서비스’에 초점을 맞추고 △광양시만 가진 콘텐츠 △시민이 원하는 콘텐츠 △도시에 필요한 컨텐츠 찾기에 나서고 있다.
특히 스마트 도시 구축에 있어 경제적 수익과 사회적 수익 가치 창출을 위해 스마트 도시사업과 연계한 차별화된 비즈니스 모델 창출과 함께 시민이 주도하고 참여해 체감하는 시민 중심 스마트 도시를 조성함으로서 시민과 함께 창조해 가는 스마트 도시를 표방한다는 복안이다.
이를 위한 구체적 추진 방향은 △신규개발 지역 △도시재생 지역 △기존 지역 등으로 나눈 차별화된 지역 성장단계별 접근을 꾀하고 있다.
신규개발 지역 스마트화는 신기술이 즉시 적용 가능하도록 물리적 도시 인프라에 스마트 인프라와 스마트 서비스를 적용한 ‘신도시형 스마트 도시’로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시설로는 사물 인지 가로등이나 쓰레기를 압축해 지하 쓰레기 집하장에 처리하는 쓰레기차 없는 지역, 도보 5분 이내 학교 도착이 가능한 아이 키우기 좋은 그린 지역 등이다.
시는 초기의 막대한 투자비로 인해 분양가가 상승하는 부작용이 있을 수 있지만, 재투자나 운영관리비 등의 저감효과를 통해 이 같은 우려를 상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도시재생 지역 스마트화는 뉴딜 사업을 통해 쇠퇴도시에 도시재생을 연계하는 유럽형으로서 정부의 재정적 지원으로 자치단체 재정 부담이 줄어든다는 장점이 있다.
광양시 정보통신과 왕창렬 스마트도시팀장은 “스마트도시를 구축하는데 필수적인 ICT 기술은 대도시 위주로 받는 문화, 생활, 교통, 환경 등 혜택을 지방 소도시에서도 풍부하게 받을 수 있도록 해준다”고 강조했다.
광양시 스마트 도시 인식 현주소
그러나 이 같은 광양시의 스마트도시 구축 청사진을 실현시켜가는 데는 몇 가지 장애요소가 존재하는 것도 사실이다.
우선 ‘스마트 도시 서비스’라는 이름은 익숙하지만 이해도 측면에서의 인식률은 낮다는 데 있다.
스마트 도시 서비스이란 ‘스마트도시 조성 및 산업진흥 법률(제2조 제2호)’에 의거 스마트도시기반시설 등을 통해 행정·교통·복지·환경·방재 등 도시의 주요 기능별 정보를 수집한 후 그 정보 또는 이를 서로 연계해 제공하는 대통령령으로 정한 서비스다.
즉 스마트도시기반시설과 ICT 기술이 융복합된 미래 산업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스마트 도시 조성과 관련, 이제 막 발걸음을 광양시다 보니 ‘스마트 도시 서비스 사업’을 ‘정보통신(ICT) 사업’으로 잘못 인식하고 있는 경우가 많은 실정이다.
또한 시 공무원들의 낮은 인식률과 신기술 습득 부담감 등 전문성 부족으로 인해 관련 업무를 회피하는 경향도 나타나는 현실이다.
더 중요한 부분은 사업기획에서부터 운영관리까지 부서간 협업이 필수적이라는 점에서 방안 마련이 녹록치 않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인터뷰] 광양시 정보통신과 왕창렬 스마트도시팀장
왕창렬 팀장은 “시민들에게 실용적인 스마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현장에서 운영이 가능한 지자체 실무부서의 적극적인 참여가 가장 중요하다”며 “정보통신 기술만으로는 시민들의 이용 편의를 제공하는 데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즉 스마트도시 사업추진에 있어서는 계획단계부터 활용, 관리 운영 등 사업추진 전반에 걸쳐 정보화 부서와 운영부서의 협업을 통한 긴밀한 협력과 소통이 이뤄져야 한다는 것이다.
왕 팀장은 “정보화 부서는 ICT 기술제공과 향후 운영을 위한 지속적인 기술지원을 담당하고, 운영부서에서는 향후 효율적이고 직접적인 관리 운영을 위한 행정적인 조언과 지원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어느 한 부서의 일방적인 추진만으로는 오히려 스마트 서비스를 이용하는 시민들에게 불편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왕 팀장은 “스마트 기술은 시대변화에 맞춰 변화 속도가 워낙 빠르다 보니 현장에서 일하는 실무자의 의견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며 “광양시 정보화 부서와 운영부서의 긴밀한 소통과 협업을 통해 시민들이 일상생활에서 보다 많은 스마트 기술 혜택과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이 취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의 지원을 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