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진화하는 보이스피싱, 예방이 최선
보이스피싱 범죄가 정부와 경찰의 적극적인 홍보에도 불구하고 점점 교묘해지고 다양화되는 등 진화하고 있다. 더불어 최근에는 범죄 조직원들이 대담하게도 피해자들에게 직접 찾아가 돈을 전달받는 대면 편취 범죄가 증가하고 있어 사람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피해를 당해 보지 않은 사람들은 범행 수법이나 피해 사례들을 보면서 쉽게 속지 않을 것이라 생각하겠지만, 막상 범죄에 맞닥뜨리면 자신도 모르게 속수무책으로 당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보이스피싱 유형별로 살펴보면 은행이나 캐피탈 등 금융기관을 사칭는 대출사기 유형이 있다. 이들은 저금리 대출을 받기 위해 기존 대출금을 상환해야 한다며 돈의 송금을 요구한다.
또 검찰이나 경찰을 사칭해 계좌가 범죄에 연루되었으니 안전하게 보호받기 위해 지정 계좌로 송금하거나, 특정인에게 전달하도록 하는 기관사칭 유형도 있다.
카톡으로 가족이나 지인을 사칭해 핸드폰이 고장났다며 신분증과 개인정보를 요구하거나 편의점 기프트카드를 구매해서 보내달라고 하는 사기 유형도 있다.
최근에는 코로나 백신접종, 재난지원금, 택배 배송 문자 등에 악성앱 설치 주소가 포함된 내용을 무작위로 발송해 악성앱이 설치된 피해자로부터 개인정보를 빼내거나 수신, 발신 번호를 조작해 금원을 편취하는 사기 범행까지 다양하다.
피해 예방을 위해 금융기관이 저금리대출이나 등급상향 목적으로 이체를 요청하거나 공공기관이 전화로 돈을 요구한다면 보이스피싱이라 생각하고 바로 전화를 끊어야 한다.
아울러 가족이나 지인으로부터 카톡 등 금전요청이 있다면 직접 전화를 걸어 진위여부를 확인해야 하며, 문자메시지로 오는 인터넷 주소는 절대 누르지 말고 즉시 삭제해야 한다.
피해가 발생하면 범인을 검거하더라도 피해회복이 쉽지 않으므로 항상 주의하고 스스로 예방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