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덕만 한국교통대 산학협력단 교수
요즘 청년 취업난과 취업불균형이 공존하고 있는 가운데 우리사회의 패러다임을 학벌 중심에서 능력중심으로 바꿔 보자는 바람이 일면서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이란 현장 중심 교육과정 프로그램이 주목받고 있다. 국가직무능력표준은 정부가 산업현장의 직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지식ㆍ기술ㆍ태도 등의 내용을 산업부문별·수준별로 체계화한 것이다. 직업훈련 및 자격제도를 현장중심으로 개편하고 채용이나 승진 시 능력중심 인사관리를 유도해 보겠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제도는 원래 2001년부터 능력중심사회를 만들어 보자는 취지에서 출발해서 산업현장에 적합한 NCS 교육과정 모델과 학습모듈이 지속적으로 정부 주도로 개발되어 왔다.
박근혜 정부에서도 창조경제를 견인할 창의인재육성과 능력중심사회를 만들기 위해 NCS 교육과정 개발을 적극적으로 권장하는 분위기다.
이와 관련 교육부와 고용노동부는 지난해 개발한 NCS 254개와 학습모듈 468개를 이달 초 공개했다. 정부는 특성화고 3개교를 올해 신입생부터 NCS교육과정을 전면 적용하기로 했다.
또 전문대학 70개교의 교육과정을 NCS기반으로 개편한데 이어 2017년까지 100개교로 확대할 계획이다. 폴리텍대학 등 공공직업훈련은 내년 말까지 모든 훈련과정에 적용키로 했다. 정부지원 민간훈련기관들도 NCS 훈련기준에 따라 내년부터 점진적으로 개편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정부가 4년제 대학에서도 NCS 적용을 산학협력 10대 과제의 하나로 추진l각종 지원을 늘리는 추세다. 필자가 있는 국립한국교통대학교에서는 지난해 초 준비기간을 거쳐 10월 추진팀을 발족한데 이어 7개학과에서 11권의 NCS교육과정 교재를 발간했다. 4년제 대학에서는 처음 시도하는 케이스다.
해외에서는 영국이 NCS 발상지나 다름없다. 영국에서는 70년 전부터 산업계 주도로 2만여 종류의 직업과 직무능력에 대한 표준(NOS)이 만들어져 있어 산업계가 원하는 맞춤형 인재를 길러내는데 효과를 보고 있다.
호주 독일 프랑스 미국 핀란드 등이 이와 비슷한 제도를 적용하고 있고 전 세계적으로 130 여 개국이 이를 적용하고 있다. 지난 1월 중순 스위스를 국빈 방문한 박근혜 대통령은 베른 상공업 직업학교에서 학벌이 아니라 능력을 인정받는 나라가 돼야 희망이 있다면서 스위스 직업훈련시스템의 중요성을 강조하기도 했다.
다소 아쉽다면 정부 주도의 정책 추진으로 인해 노동시장과 대학가에서 NCS 이해도가 낮은 편을 들 수 있다. NCS의 도입 필요성과 활용방법에 대해서도 공감대가 아직 낮은 느낌이다. 산업계와 노동계가 설계단계부터 더 많이 참여하면서 보완점을 녹여 넣어야 할 것이다.
특히 기업의 평가 보상 교육훈련 등의 인사시스템에 NCS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인력수요를 정확히 알고 이를 인사제도에 반영시킬 수 있는 인사담당자들을 NCS 개발 초기단계부터 참여시킬 필요가 있다. 아무쪼록 NCS가 능력중심사회 첫 단추 역할을 할 것을 기대한다.
저작권자 © 광양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